본문 바로가기
문화생활

[서울시립미술관]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 2022.06.16 - 08.07

by 띵스띵스 2022. 8. 7.
728x90
반응형
SMALL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은 ‘유리구슬 조각’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의 대표적인 현대미술가 장-미셸 오토니엘의 개인전으로 작가가 최근 10여 년 동안 발전시킨 회화, 조각, 설치작품 70여 점을 선보인다.
오토니엘은 1980년대 후반부터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관습, 신화적 상상력 등을 엮어 작가만의 섬세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작품을 선보여 왔으며, 미술관 밖의 공간에서 대중의 삶과 자연, 역사와 건축과의 만남을 시도해왔다. 이번 전시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은 오토니엘의 이러한 공공 야외 설치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서울시립미술관과 야외조각공원, 그리고 덕수궁에서 전개됨으로써 다양한 공간과 대중에 접근한다.

전시 제목인 ‘정원과 정원’은 복수의 전시 장소를 지칭하는 한편 작품을 거쳐 관객의 마음에 맺히는 사유의 정원을 포괄한다. 어린 시절부터 각양각색의 꽃에 매료되었던 오토니엘에게 정원은 환상을 꿈꾸는 공간이자, 영감을 샘솟게 하는 보물창고 같은 공간이다. 오토니엘은 정원에 대한 이러한 열망을 반영해 서울시립미술관과 인접한 덕수궁을 자신의 마법을 펼칠 공간으로 선택하였다. 덕수궁 연못에 설치된 조각들은 주변 풍경을 새로운 시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이어 본격적인 전시를 선보이는 서울시립미술관에 들어서면 야외조각공원에 설치된 <황금 목걸이>와 미술관 입구에 서있는 은색 조각이 관람객을 맞이합니다. 전시장에서는 <루브르의 장미>와 <자두꽃> 회화 연작에 이어 파란색 유리벽돌 7,000여 개로 구성된 <푸른 강>이 압도감을 선사한다. <푸른 강> 위에는 조각 14점이 설치되어 시점에 따라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내며, 벽면에는 <프레셔스 스톤월> 연작이 설치되어 신비로운 빛을 뿜어낸다. 전시의 후반부에서는 만남과 공유의 의미를 되새기는 <아고라>와 직관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 표현한 작업 <오라클>로 전시를 마무리한다.

영롱하게 빛나는 오토니엘의 작품은 언뜻 아름답기만 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작품과 대화의 시간을 보낸다면 그 이면에 불안과 상처 등이 공존함을 알 수 있습니다. 수공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유리의 흔적은 구슬 하나에서는 흠집으로 보이지만 구슬이 꿰어져 완성된 목걸이에서는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아름다움이 상처를 통해 더욱 빛나듯, 정원의 자연에서 새로운 생명은 죽음에서 양분을 얻어 소생하며, 인간의 삶 역시 고통의 과정이 역설적으로 희망을 당겨옵니다. 오토니엘은 정원이 품고 있는 이 같은 우주의 비밀과 경이를 작품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자신이 그러했던 것처럼 관람객 역시 현실의 불안과 상처를 마주하고 다시 세상에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을 꿈꾸길 바란다.

황금 목걸이, 2021, 스테인리스스틸, 금박, 가변크기
황금 목걸이, 2021, 스테인리스스틸, 금박, 가변크기

목걸이 형태의 조각은 오토니엘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전 세계 곳곳의 정원을 비롯한
야외 공간에 그의 목걸이 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나무에 영험한 힘을 부여해 소원을 비는 인류의 오랜 풍습을 떠올리게 한다.
마치 소원을 적은 리본을 묶어둔 나무, 즉 '위시 트리(Wish Tree)'처럼 나무에 걸린 황금 목걸이는
우리 안에 있는 열망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징한다.

상상계의 매듭, 2021, 스테인레스스틸, 180 x 165 x 135 cm
바벨의 매듭, 2021, 스테인레스스틸, 195 x 130 x 125 cm

입구 계단 양쪽에 설치된 두 개의 조각은 작가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관습과 신화적 상상력을 엮어
매력적인 작업을 선보여왔다, 마치 미술관을 지키는 수호자인 듯 서 있는 이 작품들은 거울처럼 반짝이는 표면에 주변의 풍경을
비추면서 끝없이 반복되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스스로 서있는 거울 목걸이, 2021, 스테인리스스틸, 292 x 148 x 250 cm

루브르의 장미

〈루브르의 장미〉는 2019년 파리의 루브르박물관의 유리 피라미드 개장 3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작품이다. 이 작품을 위해 장-미셸 오토니엘은 약 2년간 루브르박물관의 소장품을 살펴보며, 박물관의 상징이 될 수 있는 꽃을 찾았다. 오토니엘은 루브르의 소장품 가운데 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l Rubens)의 〈마리 드 메디치와 앙리 4세의 대리 결혼식〉이란 작품에서 화면 정중앙 하단 인물의 발밑에 떨어진 장미를 포착했다. 이 붉은색 장미는 열정과 권력, 승리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죽음보다 강력한 여왕의 사랑과 운명,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오토니엘은 이 장미에서 받은 영감을 백금박을 칠한 캔버스에 검정 잉크를 사용해 무한한 힘으로 가득 찬 추상적인 형태로 그려내고 있다. 현대미술 작가의 전시를 거의 하지 않는 루브르박물관이 오토니엘의 전시가 끝나고 일부 작품을 영구 소장하면서, 〈루브르의 장미〉는 작가에게 더욱 특별한 작품이 되었다.

자두 꽃 2, 2022,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컬러 잉크, 164 x 124 x 5 cm
자두 꽃 1, 2022,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컬러 잉크, 164 x 124 x 5 cm
자두 꽃 3, 4, 5(삼면화), 2022,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컬러 잉크, 각 164 x 124 x 5 cm

좌측부터
<루브르의 장미6>, 2019,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검정 잉크, 164 x 124 x 5 cm
<루브르의 장미1>, 2019,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검정 잉크, 164 x 124 x 5 cm
<루브르의 장미2>, 2019,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검정 잉크, 164 x 124 x 5 cm
<루브르의 장미4>, 2019,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검정 잉크, 164 x 124 x 5 cm
<루브르의 장미5>, 2019, 캔버스에 페인팅, 백금박 위에 검정 잉크, 164 x 124 x 5 cm


프레셔스 스톤월

벽돌은 전 세계 수많은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건축요소로, 장-미셸 오토니엘이 처음으로 유리 벽돌을 이용해 작업을 시작한 것은 2009년이다. 오토니엘은 이전의 인도 여행에서 사람들이 언젠가 자신의 집을 짓겠다는 희망에 벽돌을 쌓아 두는 것을 보고 큰 자극과 영감을 받았다. 오토니엘은 이 같은 영감을 구체화해 인도 유리산업의 중심지로 유명한 피로자바드(Firozabad)의 유리공예가들과 협업을 진행했는데, 사람이 입으로 불어서 만드는 전통적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벽돌 하나하나는 미묘하게 다른 형상과 흠집, 빛깔을 갖게 된다. 이러한 불완전함과 다름은 수많은 벽돌이 모였을 때 생각하지 못한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만들어 낸다.

두 가지 색으로 제작된 〈프레셔스 스톤월〉 연작은 코로나 시기 봉쇄(록다운) 기간에 오토니엘이 매일 일기처럼 그린 드로잉을 바탕으로 2021년 처음 선보인 바 있다. 오토니엘은 매일 색을 입힌 벽돌의 새로운 조합을 그렸는데, 이는 마치 작가가 느끼는 감정을 적은 일기와도 같다. 이런 일기의 연장선으로서 이번에 전시된 〈프레셔스 스톤월〉 연작은 매일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하는 염원을, 그리고 우리 내면에서 찾을 수 있는 마법의 힘을 이야기한다. 인디언 핑크, 샤프론 옐로, 에메랄드 그린 등의 신비로운 색감은 보는 우리를 상상의 여정으로 이끈다.

<프레셔스 스톤월>, 2022, 파우더 핑크 인도 거울 유리, 나무, 79 x 55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황색 인도 거울 유리, 나무, 79 x 55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연녹색 인도 거울 유리, 나무, 79 x 55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청색과 파우더 핑크 인도 거울 유리, 나무, 33 x 32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호박색과 파우더 핑크 인도 거울 유리, 나무, 33 x 32 x 22 cm

우측부터
<프레셔스 스톤월>, 2022, 호박색 인도 거울 유리, 나무, 46 x 33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인디언 핑크 인도 거울 유리, 나무, 46 x 33 x 22 cm
<프레셔스 스톤월>, 2022, 청색 인도 거울 유리, 나무, 46 x 33 x 22 cm


푸른강

장-미셸 오토니엘은 벽돌이라는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작업을 건축적 규모로 확장하고자 했던 열망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전시되는 〈푸른 강〉은 오토니엘이 지금까지 제작한 작품 중 가장 거대한 크기로, 길이 26미터, 폭 7미터에 이르는 넓은 면적의 바닥에 벽돌이 깔려 잔잔한 물결의 푸른 강을 연상시킨다. 벽돌의 푸른색은 인도어로 “피로지(Firozi)”로 불리는 색상으로, 지중해를 비롯해 인도-유럽 문명권에서 널리 사용된 구릿빛 푸른색을 의미한다. 인류 역사에서 푸른색 안료는 다른 색상에 비해 만들기 어려워 귀하게 여겨졌으며, 파란색은 하늘과 물을 상징하는 색으로 ‘생명’, ‘생존’ 같은 긍정적 의미를 전달한다. 벽돌의 반짝이는 푸른빛은 작품의 제목 그대로 ‘물’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실제 세계와 마법의 세계에 걸쳐 있는 ‘거울’ 같은 느낌을 준다. 〈푸른 강〉 위에는 14개의 거대한 유리 조각이 설치되어 거울 같은 표면에 서로의 모습을 반사하며 오토니엘이 만든 하나의 시적인 우주를 보여준다.

푸른 강, 2022, 청색 인도 유리 벽돌, 26 x 7.1 m

매듭

장-미셸 오토니엘은 2009년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에게 경의를 표하는 〈라캉의 매듭〉을 처음 제작한 이후, 구슬을 연결해 만든 다양한 형태의 매듭 연작을 선보이고 있다. 오토니엘을 대표하는 목걸이 연작이 감성을 담아내며 시적인 표현을 추구한다면, 매듭 연작은 이성적이며 우주를 포함한 과학의 분야를 아우른다. 특히 2015년부터 시작한 〈와일드 노트〉 연작은 인터넷에서 오토니엘의 작품 이미지를 본 멕시코의 수학자 오빈 아로요(Aubin Arroyo)가 오토니엘에게 연락해 협업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8년에 걸친 공동 리서치를 통해 수학과 예술, 이성적인 것과 직관적인 것의 접점을 찾아가는 시도를 계속해 오고 있다. 오빈 아로요가 말하는 ‘와일드 노트(Wild Knot)’는 매듭의 엇갈림이 무한히 반복되는 형태를 말하는데, 그 때문에 현실에서 ‘와일드 낫’을 물리적 형태로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오토니엘의 작품에서는 반짝이는 구슬 표면에서 무한히 상호 반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와일드 낫’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수학 이론에서 무한함의 개념을 시각적 예술로 표현하는 이러한 협업 과정은 오토니엘이 우주의 질서에 한 발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노력으로, 〈와일드 노트〉는 우주를 표현하기 위해 쓰인 한 편의 시각적 시라고 볼 수 있다.


거울 매듭

〈푸른 강〉을 지나면 좌대 위에 설치된 조각 작품 8점을 만나게 된다. 거울 유리를 재료로 하여 매듭 형상으로 만들어진 이들 조각은 작품의 표면에 무한 반복되는 이미지의 상을 만들어내며 ‘상호작용’과 ‘무한’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구슬 하나의 표면에는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의 모습과 주변의 풍경이 비치고, 이는 또 다시 다른 구슬에 반사되면서 무수히 반복되는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서로 반사하며 이미지가 무한히 반복되는 이러한 상황은 불교의 ‘인드라망’의 개념과도 닿아 있는데, 인드라망은 하늘 위 높은 곳 인드라신의 궁전 지붕 위를 덮고 있는 그물망을 의미한다. 복잡한 그물 형상의 인드라망에는 그물코마다 밝은 보배 구슬 장식이 달려 있는데, 각각의 구슬은 무한한 반사를 거듭하며 전 우주를 담아낸다. 그리고 그물의 한 코가 출렁이거나 움직이면, 다른 모든 구슬에 그 움직임이 반영된다. 이렇듯 인드라망은 세상 우주의 모든 존재가 거미줄처럼 유기적으로 얽혀있음을 의미하며, 삶과 죽음, 치유와 상처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일찍이 깨달았던 오토니엘의 작품 세계와도 닿아 있다.


아고라

〈아고라〉는 공간을 창조한다는 점에서 건축의 개념에 가깝게 다가가고자 하는 장-미셸 오토니엘의 또 다른 열망이 반영된 작품이다. 얼핏 보면 동굴이나 무덤처럼 보이기도 하는 〈아고라〉는 미래주의적 느낌을 주면서 동시에 과거 인류의 집단적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아고라〉는 은밀하게 비밀을 공유하는 일종의 은신처가 될 수도 있고, 대중 연설 같은 표현의 자유가 허락된 열린 공간이 될 수도 있다. 2,750개의 스테인리스스틸 벽돌로 만들어진 〈아고라〉는 갑옷의 견고함과 살갗의 부드러움이 뒤섞여, 기념비적이면서도 이를 넘어서 시적이고 감각적인 에너지를 뿜어낸다. 조각과 건축 사이의 이러한 중간적 형태는 오토니엘이 평생 추구해 온 “세상과 경이로운 관계 맺기” 혹은 “현실을 다시 마법화하기”에 관한 동시대 유토피아의 유적 발굴 현장과도 같다.

아고라, 2019, 스테인리스스틸, 300 x 430 x 370 cm
아고라, 2019, 스테인리스스틸, 300 x 430 x 370 cm

오라클

〈오라클〉은 장-미셸 오토니엘의 작업 가운데 가장 순수하고 시적인 작업으로, 주변의 모든 것에 예민한 선지자 혹은 예언자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오토니엘은 〈오라클〉 연작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의 작업에는 강렬한 신탁적 존재가 서려 있다. 나의 작업에는 직관적인 무언가가 있지만 동시에 신의 계시나 명령 같은 것 또한 존재한다.” 〈오라클〉은 형태적으로는 미니멀리즘의 대표 작가인 도널드 저드(Donald Judd)의 엄격함을 연상시키지만, 작가의 주관이 개입되는 것을 최소화했던 미니멀리즘과는 달리 오토니엘은 그 안에 자신만의 시적 은유를 담아내고 있다. 벽돌 모듈을 사용해 중간 중간 돌출된 형태를 하고 있는 〈오라클〉은 마치 구두점으로 연결된 구절을 연상시키는 한편 암호화된 메시지처럼 보이기도 한다. 관람객은 이처럼 작가가 제시한 〈오라클〉이라는 수수께끼를 풀면서 작가가 미래에 선보일 작업을 꿈꾸고 상상하며 관람을 마무리한다.

오라클, 2022, 핑크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13 x 207 x 22 cm
오라클, 2022, 녹색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13 x 146 x 22 cm
오라클, 2022, 호박색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27 x 272 x 22 cm
오라클, 2022, 호박색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27 x 272 x 22 cm
오라클, 2022, 회색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35 x 207 x 22 cm
오라클, 2022, 핑크 인도 유리 벽돌, 스테인리스스틸, 13 x 207 x 22 cm

황금 연꽃

장-미셸 오토니엘은 한국을 여러 번 방문하면서 한국의 전통 건축과 공예,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연꽃 문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연꽃은 한국을 비롯한 동양문화권에서 특별한 의미를 띠는데, 진흙에서 깨끗한 꽃을 피우기에 ‘순결’이나 ‘지혜’를 상징하기도 하며, 연꽃의 씨앗은 천년이 지나도 꽃을 피울 수 있어 ‘생명력’, ‘다산’, ‘창조의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토니엘은 진흙에서 꽃을 피우는 연꽃처럼 혼탁한 세상에 던져진 인간이 고통을 넘어 깨달음에 이르기를 바랐던 불교 문화에서 메시지를 빌려오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마법의 손길을 더해 연꽃에 동화적 상상력을 불어넣었다. 스테인리스스틸 구슬 하나 하나에 손으로 금박을 입혀 만든 추상적 형태의 〈황금 연꽃〉은 주변의 초록색 풍경과 대조되며 경이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그와 동시에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이 마치 꿈이나 동화 속의 한 장면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마법을 건다. 작은 아리연꽃으로 뒤덮여 아름다움의 절정에 이른 여름의 덕수궁 연못에 피어난 오토니엘의 〈황금 연꽃〉은 관람객에게 새로운 시공간을 꿈꾸게 한다.

황금 연꽃, 2019, 스테인리스스틸, 금박, 150 x 160 x 145 cm
앞쪽- 황금 장미, 2021, 스테인리스스틸, 금박, 120 x 180 x 190 cm
나무 위- 황금 목걸이, 2021, 스테인리스스틸, 금박, 가변 크기

728x90
반응형
LIST